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Archeologist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6-01-29
방문횟수 : 508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62 2017-09-16 16:49:39 2
중국인을 분석한 도서 추천부탁합니다. [새창]
2017/09/16 10:51:05
국화와 칼은 문화인류학 분야의 명저 중 하나죠!
주제가 주제이니만큼 책게에 올리셔도 되고, 역게에 올리셔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중국 문화인류학은 민족이라든지 영토라든지 너무 광범위해서인지 몰라도 딱 이거다하는 책은 들은바가 없네요 저는..
문화인류학 중국 키워드로 찾아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이럴때 전공이신 분이 등장해주시면 좋을텐데요..
61 2017-09-10 23:04:47 49
조상님들의 파워풀한 고래사냥 [새창]
2017/09/10 19:33:31
한국 신석기시대는 아무리 높게 잡아도 편년상 1만년 전을 상회하지 않습니다
고로 해상왕래가 설득력이 높아요:)
60 2017-09-03 11:01:39 0
[새창]
영화 대부3에 명언이 나오죠
친구와 돈은 물과 기름같다고..
59 2017-09-02 01:08:24 1
"쪼다"의 어원 [새창]
2017/09/01 06:04:49
위에 쓴 ㅅㄷ는 나름 중세국어를 떠올려본것입니다. ㅅㄷ은 ㄸ으로 발음하면 된다고 주워들은것 같습니다.
58 2017-09-02 01:04:18 1
"쪼다"의 어원 [새창]
2017/09/01 06:04:49
저는 비속어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란 생각이 드네요.
좇아 -> 조ㅅㄷㅏ -> 조다 -> 쪼다
이렇게요.
57 2017-09-01 21:55:36 3
역사공부할수록 우울해지는건 저뿐인건가요 [새창]
2017/09/01 19:09:29
저는 한국의 근현대를 공부할 때가 제일 괴롭더라구요.
한줄 읽어내려갈 때마다 한 숨 한 번, 먼 산 한 번..
종종 치미는 분노로 책장을 덮기 일쑤입니다. 생각해보니 쭈욱 읽어내려간 적이 거의 없네요.
56 2017-08-31 10:48:37 1
[새창]
한국 현대사에 포함하기엔 너무 굵직한 다른 사건들이 많아서 힘들겠지만,
한국 현대 문화사 중 가요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는 점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55 2017-08-31 00:36:38 1
역사학과 고고학의 차이점은 뭘까요? [새창]
2017/08/30 21:58:57
역사학과 고고학의 궁극적인 목적인 "과거의 복원에 대한 연구"에 있어, 역사학의 비중은 문자의 발명(혹은 사용) 이후로 점진적으로 증가합니다.
그러나 '고고학의 비중 감소'가 '고고학은 역사학의 하위체계가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과거의 복원에 대한 연구에 있어, 비중은 감소하지만 발굴되는 유구와 유물의 양은 급격히 증가합니다. ex)조선시대~일제강점기
사족 하나를 달자면, 한국사에 있어서 고고학과 역사학의 콜라보가 가장 잘 어우러지며, 가장 흥미로운 시대는 아마 초기철기시대에서 삼국시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54 2017-08-31 00:22:53 2
역사학과 고고학의 차이점은 뭘까요? [새창]
2017/08/30 21:58:57
역사 시대와 선사 시대의 구분은 문자의 유무입니다.
따라서 역사학에서 주로 취급하는 자료는 문헌사료이고, 고고학에서 주로 취급하는 자료는 발굴된 유물과 유구 입니다.

고고학의 범주는 인류의 진화(오스트랄로~호모 등등)를 포함하는 선사시대에서부터 역사시대에 이르는 기간입니다.
역사학의 범주는 문자가 발명된 이후기에 문자발명 이후의 역사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공통분모를 가진 역사시대 연구의 경우 역사학 또는 고고학 한쪽만의 우위로 취급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역사학과 고고학 양자가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관계입니다.

역사학의 하위 분과가 고고학이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
1. 역사학에서는 선사시대에 대한 연구자체를 할 수 없으며
2. 역사학에서 연구된 문헌사료는 자료의 왜곡이 있을 수 있기에, 고고학에서 발굴된 유물과 유구로 보정이 필요합니다.
3. 그리고 역사시대 사료의 대상은 조선시대 후기 이전에는 대개 지배층이었습니다. 고고학에서 지배계층은 물론, 피지배계층에 대한 자료가 발굴됩니다.
53 2017-08-29 15:21:05 1
제가 우연히 패트 뷰캐넌이라는 정치인을 알게되었는데요 [새창]
2017/08/29 14:59:04
게시판을 떠나 질문글은 본인 삭제 금지요
52 2017-08-29 15:13:04 1
제가 우연히 패트 뷰캐넌이라는 정치인을 알게되었는데요 [새창]
2017/08/29 14:59:04
게시판 미아?
51 2017-08-27 12:56:51 0
[새창]
직역 말고 의역해보자면,
“대만연의를 시청해주시는 여러분 환영합니다.”
“소위 일부이비삼맹갑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는 대만의 남북을 아우르는 발전과 그 강약의 선후 관계를 묘사하는 말입니다.”
정도일 것 같습니다.

끝으로 ‘사서오경 읽고서 제게 한자를 이야기하냐’고 물으셨기에 답하자면
네 읽습니다. 백문도 읽고, (주로 사서지만) 고문 역시 읽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문회 1급 한자 자격증 및 HSK도 있으며, 중국에서 생활도 했습니다.

아, 참고로 모로하시 사전을 추천드립니다. 사서오경뿐 아니라 중국 고문에 등장하는 단어가 제일 잘 정리되어 있는 사전입니다. 또한 중국어를 배우시길 권해드립니다. 한자를 어느정도 아시는 분이라면 쉬이 습득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존경하는 석학 중 한 분은 일흔이 넘는 나이에 악기를 배우기 시작하셨습니다. 어르신께서도 그런 열정으로 항상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50 2017-08-27 12:56:14 0
[새창]
아래는 제가 그 부분을 번역해보았습니다.

00:11 歡迎收看台灣演義
환영합니다. 대만연의를 시청해주셔서.
*歡迎 환영합니다.
*收看 시청하다
*台灣演義 방송프로그램 제목. 동영상 진행자 뒤쪽, 우리가 보는 화면상 오른쪽에 대만연의라고 써있습니다.
*演義 삼국지연의의 그 연의입니다. 명사로 일종의 역사소설을 뜻하기도 하며, 동사로도 사실에 부연하여 설명하다는 뜻으로 쓰이네요.

所謂 一府二鹿三艋舺
소위 일부이비삼맹갑이란
*所謂: 소위, 이른바
*一府二鹿三艋舺(일부이록삼맹갑): 일종의 관용어구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만어로 '일부(대만부성이 놓여있던 타이난 시), 이록(루강), 삼맹갑(지금의 타이베이 시 완화 구)'으로 아울러 일컬어졌다(위키 참조)
https://zh.wikipedia.org/wiki/%E4%B8%80%E5%BA%9C%E4%BA%8C%E9%B9%BF%E4%B8%89%E8%89%8B%E8%88%BA
https://www.travel.taipei/ko/media/publication/details/281
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A%B0%95_%EC%A7%84

描述的是台灣從南到北
묘사는, 대만의 남쪽에서부터 북쪽까지의
*描述 묘사
*是 ~이다
*台灣 대만
*從南到北 從A到B 이는 A에서부터 B까지란 의미로 남쪽에서부터 북쪽까지란 뜻입니다.

發展强弱的先後順序
발전과 강약의 선후관계를 말합니다.
*發展 발전
*强弱 강약
*的 ~의(어조사)
*先後順序 선후관계
49 2017-08-27 12:55:57 0
[새창]
어르신, 어르신의 열정과 뜻은 잘 알겠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래 푸쉬킨님이 설명해주신 바와 같이 번역이라고 부르기 민망한 수준입니다.
어르신께서 작업하신 ‘대만방송의 내용을 번역해놓았다고 한 것’은 문장의 주어-술어-목적어가 전무하여, 무의미한 단어와 단어의 병렬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따라서 그 의미가 무엇인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인지 화자의 의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습니다.

일단 앞부분의 어르신께서 번역하신 부분의 앞 두 단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의 숫자는 동영상 상의 시간입니다.
00:11 환영. 정제하여 방문하는 대만(합만) 바르게 흐르는(演義)...
00:18 소위 일개(하나) 정부, 2개 oo, 3개 작은배, 큰배, 고양이 묘에 놓은 술과 같은, 남에 내려가고 북에 도달한 올바른 대만. 발전 강하고 약한 뛰어난 먼저 순서 본래 본체는 합만 분지
48 2017-08-23 23:02:04 1
[새창]
본 영상의 제일 정확한 문장은 '번역에 약간의 오류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뿐인것 같습니다.
번역의 오류로 공감을 할수없어 비공감했습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2 3 4 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