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estn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0-06-02
방문횟수 : 3030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49 2013-11-05 15:41:59 1
이해가 안됩니다. [새창]
2013/11/05 10:38:20
오유 내의 모든 게시판에는 같은 룰이 적용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설령 특정 게시판의 분위기가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말이죠.
그게 싫다면 따로 친목 사이트를 만들면 해결될 문제입니다. 여긴 오유니까요.
148 2013-11-05 15:31:42 0
잠을 적게자다가 많이자면 왜 피곤한가요? [새창]
2013/11/05 15:14:28
많이 잘수록 피곤이 풀린다는게 잘못된 고정관념이에요~
규칙적인 시간에 7시간 정도 자는게 가장 피곤이 풀리고 그 이상도, 이하도 안좋다네요.
특히 오랫동안 불규칙한 수면패턴을 유지하면 평균수명에도 큰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147 2013-10-31 05:17:02 0
전설방패인데.. [새창]
2013/10/31 05:12:14
팔리려면 방패에는 극대화 확률이 8% 이상은 붙어야해요~
146 2013-10-31 02:31:16 7
제생각엔 외계인은 무조건 인간에 호의적일거같습니다 [새창]
2013/10/31 02:05:16
우리가 닭에게 적대적이라 치킨을 좋아하는건 아니잖아요?
145 2013-10-24 22:11:07 2
어...오빠!!! 우리 오랜만이에요 ♥ [새창]
2013/10/24 19:09:14
makret으로 된 주소 바꾸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상당수는 잘못된 메일주소로 보내고 답장이 없다고 생각할거 같네요.
144 2013-10-15 23:46:05 1
[유툽]노벨물리학상 수상 higgs boson에대한 번역,해설 [새창]
2013/10/15 23:18:16
1// 초끈이론은 표준이론을 포함합니다.
표준이론은 이미 실험으로 검증된 반박이 힘든 기준선이구요,
표준이론의 입자에 초대칭 입자를 더해서 이론의 수학적 구조를 예쁘게 만든게 초대칭 이론,
초대칭 이론의 입자를 끈으로 바꿔서 수학적 구조를 더 예쁘게 만든게 초끈이론입니다.
143 2013-10-15 22:48:55 0
물리학과 온거에 후회가 되네요 [새창]
2013/10/15 22:27:17
물리학과라고 해서 다른 학과보다 크게 불리할 것도 없습니다.
취직이 잘되는 과도 대학원갈 요량으로 취직 준비 없이 시간을 보내면 제때 취직하기 힘듭니다.
요즘 취직길이 떡하니 열려있는 곳이 얼마나 되나요?
물리학과 때문에 이미 망했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준비해보세요.
142 2013-10-14 14:05:08 49
경복궁 앞 일본대사관 신축 ‘불허’ 1년 만에 ‘조건부 허가’ [새창]
2013/10/14 08:53:58
경복궁의 문화적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 건물에 14m 높이 제한이 있는 것입니다.

그것을 무시하고 32m짜리 건물을 짓는 것은, 다시 한번 일제가 왕궁을 유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141 2013-10-12 00:17:48 0
인간의 유골로 만든 광기와 폭력의 역사 <BGM> [새창]
2013/10/11 17:38:50
중간에 브로콜리는 뭔가요
140 2013-10-11 04:37:24 0
이공계생이 학교 다니면서 고시준비 가능하나요?? 진로 고민.. [새창]
2013/10/11 00:56:21
법대를 가는 것도 아닌데 응시자격 채우고 2017년까지 합격을 바라는 것은 굉장한 도박입니다. 특히 학교를 몇년간 휴학할게 아니라면 사시 준비때문에 전공 학점이 빵구날 확률이 큰데, 그런 상태에서 2017년까지 사법고시 합격을 못한다면 좋은 로스쿨에 들어가는게 거의 불가능해집니다. 상위 로스쿨일수록 출신학교/학점이 매우 중요해지거든요 (좋은 학교/좋은 학점을 가지고 오는 경쟁자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 로스쿨 졸업생이 워낙 많아서 하위 (딱히 하위가 아니라 SKY이외의) 로스쿨에 들어갈 경우 졸업 이후 판/검사나 로펌/회사 법무팀에 취업하기가 매우 힘들고, 개인변호사는 이미 포화상태라 법이 좋아서 하는게 아니라면 인생이 팍팍할겁니다. 단, 친척분들 중에 잘나가는 변호사가 여럿 있다면 그 사람들이 백이 되어줄 경우 훨씬 나은 길을 걸을 수 있구요. 그리고 지금 수시 넣은 학교가 네임벨류가 높은 학교라면 재수는 권하고 싶지 않네요. 건축을 전공하고 싶다면 대학 가서도 바꿀 길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학교에 따라 복수전공을 할 수 있고, 학부때 수학과 함께 건축 관련 공부를 한 뒤 대학원을 건축쪽으로 갈 수도 있구요.
139 2013-10-11 03:57:19 0
시간에 대해서 [새창]
2013/10/11 02:34:04
60진법을 쓰던 수메르인들의 영향이 남은거라고 하네요.
138 2013-10-10 11:21:25 0
흔한 노블리스 오블리제.jpg [새창]
2013/10/10 01:00:30
자녀가 미성년일때 국적을 포기시켰다면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만약 성년이 된 아들이 국적을 포기한다고 하면 부모에게 최종결정권이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물론 제 아들이라면 다리몽뎅이를...
137 2013-10-09 08:13:44 8
창제 1443년 반포 1446년. [새창]
2013/10/09 00:43:33
알파 테스트때 집현전 길드의 불만이 심했다고 하죠.
136 2013-10-08 01:25:27 0
부분분수를 이용한 적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새창]
2013/10/08 01:08:44
1/x를 적분하면 ln x가 아니고 ln |x|가 되죠.
결국 둘이 같은 답입니다 ㅎ
135 2013-10-05 11:19:09 2
주파수 투과율에 관한 질문입니다 [새창]
2013/10/05 10:53:30
말그대로 뚫고 지나가는 투과만 생각하면 고주파 영역이 더 잘하는게 맞습니다. 마치 작은 입자처럼 행동하지요.
대신 저주파 영역은 훨씬 파동처럼 행동하기 때문에 반사나 회절이 쉬워서 구불렁구불렁 다닙니다.
그래서, 예를들어 방송국과 집 사이에 높은 산이 있을 경우, 고주파는 저주파에 비해 산을 잘 투과하겠지만 산이 너무 두껍기때문에 집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반면, 저주파는 하늘에 반사되기도 하고 산을 따라 회절하기도 하며 집까지 대충대충 잘 도착합니다.
결론은, 뚫고 지나가는 투과는 고주파가 잘하지만, 장애물을 넘어올 수 있느냐를 묻는다면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11 12 13 14 1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