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국을 충격에 빠뜨린 로더럼 성착취 사건
게시물ID : menbung_4981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대양거황
추천 : 11
조회수 : 1681회
댓글수 : 59개
등록시간 : 2017/07/16 02:21:00
옵션
  • 펌글

한국에서 흔히 '로더럼 사건'으로 축약되고는 하는 이 사건은, 1997년부터 2013년까지 16년 동안 1,400명의 11~25세 백인 소녀들이 조직적으로 성적인 학대•착취를 당한 사건이다. 범행은 파키스탄계 이민자들로 구성된 지역 범죄 조직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학대에는 유괴, 협박, 강간, 신체적 폭력 및 고문, 성매매를 목적으로 하는 인신매매 등이 포함되었다.


2010년, 5명의 파키스탄인이 12세의 소녀를 지속적으로 집단 성폭행해온 사실이 알려졌다. 타임즈지의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성적 학대는 이 단편적인 사건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것이었으며, 이미 주 의회는 2002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사건에 대한 보고를 받아 왔다. 사우스요크셔 주 경찰 및 의회는 이로 인해 강하게 비판을 받았다.


이후 2013년에 이르러, 알렉시스 제이 교수가 이끄는 독립적인 조사가 시작되었다. 그녀가 2014년 8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 성적 착취는 이전까지 알려진 것보다도 훨씬 심각한 문제였다. 로더럼 전체 인구의 1%를 넘는 1,400명의 소녀들이 범죄에 노출되어 있었고, 그러한 범죄가 16년 동안이나 이어졌던 것이다.


조사에 따르면, 파키스탄인 범죄자들은 피해자 소녀들과 접촉해 연애를 하는 척 하면서 소녀들을 강간했고, 그렇게 그들은 피해자의 '남자친구'가 되었다. 피해자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집단적으로 성폭행을 당했으며, 버스에 실린 채 런던 등의 대도시로 호송되어 성매매를 강요받기도 했다. 범죄 조직은 대놓고 버스를 학교에 보내 아이들을 태우고 떠나고는 했는데, 학교 교장이 신고를 했음에도 묵살당하는 일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범죄 조직 아래에서 툭 하면 얻어맞고, 고문을 당하고, 원하지 않는 성관계를 강요당했다. 피의자들은 11세 소녀의 '머리에 총구를 들이밀며, 그녀에게 휘발유를 붓고 불을 지르겠다고 협박하고, 끔찍하게 강간당하는 장면을 보여주며 입 다물고 있지 않으면 다음 차례는 너'라고 협박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지역 경찰은 사태를 방관했고, 실질적인 조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심지어 피해자 소녀들은 그런 성적 착취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고, '로더럼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겪어야만 하는 성장통'이라 생각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자 사건은 곧바로 공론화가 되었고, 영국 사회를 큰 충격에 빠뜨렸다. 이는 현대 영국에서 일어난 것이라고는 도저히 믿기 힘든 사건이었다.


이 사건이 복잡한 까닭은 인종, 계급, 젠더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11세 소녀가 다섯 명의 파키스탄인에 의해 집단 성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경찰은 두 명의 피의자에게 경고 조치를 하는 것으로 처벌을 끝냈다. 경찰들은 오히려 피해자를 '창녀'로 매도했으며, 피해자가 저소득층 출신에 마약과 술을 했고, 가정 환경이 비정상적이라는 이유로 평범한 비행청소년의 일탈로만 치부했다. 파키스탄 노동자들은 백인 소녀들을 '하얀 쓰레기들'이라 불렀고, 노동당계 정치인들은 인종차별주의자로 낙인 찍히기 싫어 조사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


낙후된 공업지대에서 하층 계급 출신으로 태어난 백인 소녀들은 쉽게 범죄에 노출되었다. 젠더적인 편견에 찌들어 있는 지역 경찰은 사건을 방관했다. 노동당 강세 지역에서 선출된 '정치적으로 올바른' 정치인들은 인종 및 종교가 얽힌 문제에 함부로 손을 댈 수 없었다. 결국 이런 저런 조건들이 맞아떨어지며, 이 조직적인 성적 착취는 16년이나 이어졌고, 어쩌면 그 이후로도 더 이어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영국 내 무슬림 및 세계화에 대한 여론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2016년 브렉시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들 중 가장 주요한 사건으로 지목되고는 하며, 이후로 무슬림계 이민자들을 범죄자, 성폭행범, 소아성애자로 단정 짓는 과격한 시선이 늘어났다. UKIP와 같은 극우 정당은 이 사건을 기점으로 조금씩 그 지지 세력을 늘려가고 있다.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회의 역시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 '이민 노동자'들은 사회적인 약자였고, 정치적 올바름에 입각해서 본다면 무조건적으로 보호받아야만 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 바로 그 정치적 올바름에 의해 고통받아야만 했던 것은 실제로 약자의 위치에 있었던 백인 소녀들이었다. 전통적인 노동당 강세 지역인 로더럼에서, 지역 정치인들은 인종차별주의자로 낙인 찍히기 싫어 이 사건이 공론화되기 전까지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정치인들은 단지 수사에 불과한 '정치적 올바름'을 위해 진짜 '올바름'을 포기했던 것이다.


나아가 이민자들을 싸잡아서 욕하고, 그런 사건을 방관한 지역사회 전체를 '강간'해버려야 한다는 극단적인 의견 역시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것이 분명히 옳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옳지 않다는 것을 다들 충분히 알고 있으면서도, 현재 문제가 되는 동유럽계 이민자들까지도 범죄자라 비하하며 당장 내쫓아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출처 https://namu.wiki/w/%EB%A1%9C%EB%8D%94%EB%9F%BC#s-2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