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ASterisKY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3-03-22
방문횟수 : 229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90 2024-05-29 12:16:06 0
소재가 떨어졌던 웹툰 작가의 최후 [새창]
2024/05/29 11:53:50
저걸 해내네 부럽~
189 2024-05-29 12:12:56 5
Microsoft가 돈을 버는 방법 [새창]
2024/05/29 12:05:22
애져 개비쌈.
188 2024-05-29 12:01:30 47
성심당과 윤석열 [새창]
2024/05/29 11:34:24
코레일유통은 그 룰을 따르고 있지 않아요.
유찰이 되면 입찰하한가가 낮아지는데, 그렇게해서 낮아진 가격으로 입찰한 성심당을 또 떨어뜨린거에요.
정량적 평가(입찰가)는 합격했는데 정성적 평가(주관적 평가)로 불합격시켰어요. 괘씸죄같은거죠.
이건 스스로 룰을 어긴거죠. 떨어뜨리기 위해서.
성심당의 대전역 매장을 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거기 입지가 아주 안좋아요.
1층과 2층 사이에 낑겨 있고 에스컬레이터로도 못가는 이상한 곳이에요.
다른 매장과의 형평성을 따지기에도 애매한 곳이에요.
187 2024-05-28 09:48:17 0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30 [새창]
2024/05/28 09:23:50
미리 이직 축하해요~~~!!!
186 2024-05-28 09:25:13 2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30 [새창]
2024/05/28 09:23:50
아니네 치열허네
185 2024-05-28 09:24:44 1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30 [새창]
2024/05/28 09:23:50
순위권인가
184 2024-05-27 09:52:33 3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29 [새창]
2024/05/27 09:29:13
아아...그래서 냥이네 회사로 옮겨서 연구소장이 되셨고나
183 2024-05-24 10:10:11 18
황당한 이혼사유.jpg [새창]
2024/05/23 22:18:16
저거저거저거 딱 그놈이네.
그놈 있자나 전 정부 탓만 하는 놈.
전 정부에서 으마으마한 유산 물려줬더니 다 날려먹고 전 정부 때문이라고 우기고.
지가 독재하면서 야당이 독재라고 우기고.
외교 경제 다 말아먹고 최고 성과라고 우기는 놈이나 마누라랑 딸도 구분못하는 놈이나.
그림도 비슷해보이는걸. 흠흠
182 2024-05-21 14:41:22 1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23 [새창]
2024/05/21 09:33:43
기념으로 글 하나 더 주세요 ㅋㅋ
181 2024-05-21 13:55:22 0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23 [새창]
2024/05/21 09:33:43

[[[경]]] 베오베 한 페이지에 글이 3개나 올라감!!!! [[[축]]]
180 2024-05-10 12:17:38 1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13 [새창]
2024/05/10 11:41:52
선추천!! 열혈감상.
179 2024-05-09 11:30:06 0
8년전 일하며 겪은 에피소드#111 [새창]
2024/05/09 11:27:25
3등!!!
178 2024-05-06 18:45:25 9
2년째 심사중인 논문이 있다 [새창]
2024/05/06 15:30:50
“심사“가 아니라 “검증”이네.

”심사“는 논문으로 학위를 줄지 말지를 따져보는거고.
”검증“은 학위받은 논문이 제대로 된건지 따져보는거고.

”심사중“이라면 학위를 아직 안줬으니 제대로 보자는거고.
”검증중“이라면 학위 받은 논문의 수준을 보자는 거고.

님 말처럼 ”심사중“이면 그 학교가 제대로 따져보고 있는거고.
”검증중“인데 결론 안내고 있는거면 책임을 미루고 있는거고.

제목보고 잠깐이나마 희망을 가졌었는데 내 실망을 책임지시오
177 2024-05-06 14:03:41 3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중산층 자영업자들의 붕괴로 간다? [새창]
2024/05/06 08:36:39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최저임금이 오르면 물가가 오른다"는 명제입니다. 이 명제는 틀렸습니다. 역사적으로 그런 적이 없습니다. 시간적 순서가 그리될 수는 있어도 "원인과 결과"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코로나 이후 물가가 오른 것은 "보복적 가격인상과 정부의 방관 및 공공가격 인상"이 원인이었습니다. 수년 전에 있었던 최저임금 상승이 원인이라고 보긴 힘듭니다. 시차마저 수년의 간극이 있습니다.
176 2024-05-06 13:52:48 3
최저임금 상승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중산층 자영업자들의 붕괴로 간다? [새창]
2024/05/06 08:36:39
안타깝게도...제대로 아는게 하나도 없는 듯 하네요.

최저임금제도의 문제는 사회가 최저생활수준을 강제로 정해버리는다는 점입니다.
→ 그게 왜 문제지요? 최저생활수준을 지켜주면 안되는 거에요? 노동자는 최저생활조차도 해서는 안된다는 거에요?

대부분 자영업장이나 중소사업장에서 통상임금이 최저임금 그 자체인 상황에서 임금이 오르면 4대 보험도 올라 버리거든요
→ 월급이 오르면 4대 보험료가 당연히 오르죠. 보험료가 올라도 월급이 오르면 땡큐인데. 뭐가 문제죠? 최저생활수준도 강제로 정해줬다면서요. 최저생활하면서 월급도 올라서 보험료 더 내라는건데 왜 문제죠?

그러다보니 최저임금보다 생산성이 낮은 노동자는 노동시장에서 떨려나게 되는거고 최저임금을 주지 못하는 업종을 도태되는 거고..
→ 그걸 우리는 '구조조정'이라고 부르고 있죠. 언제나 시장은 구조조정 중입니다. 그러니 노동자는 자기계발도 하고 기업은 기술개발 해야죠.

결국 노동자도, 고용주도 각자의 최하위 계층간에 싸움이 나는 겁니다.
→ 구조조정 때문에 노동자와 고용주가 최하위 계층끼리 싸운다고요? 경쟁과 싸움을 구분을 못하는 듯 하네요. 얼마 안되는 파이를 놓고 서로 물고 뜯고 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좀 안타깝네요.

문통때 소득주도성장 정책으로 최저임금을 대폭 오른 후에 코로나가 터지면서 서비스 업종에 적극적으로 키오스크와 로봇을 도입한 것이 그 사례입니다.
→ 키오스크와 로봇을 도입한게 노동자와 고용자가 싸운 결과라고요? 동의하기 어렵네요. 오히려 서비스 업종에 고객이 몰리고 자본이 쌓이다 보니 신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봐야지요. 그 신기술 분야에선 또 새로운 고용이 창출되고 있는거고요.

앞으로 4차 산업이 대세가 되는 시대가 오면 빈부격차는 더 심각해 질 꺼고 여기에 고령화까지 겹치게 되면 현재의 임금제도나 최저임금제로는 버티기 힘들어 질겁니다.
→ 일단 '4차 산업' 아니고요, '4차 산업혁명'입니다. 4번째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으로 버티기 힘든건 임금제도가 아니라 기존 기술이겠지요.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타자기가 밀려난 것처럼. 위에 쓴 것처럼 신기술이 빠르게 늘어나고 자리를 넓혀가고 있는 중입니다.

노인들을 한창 일할 나이의 젊은이들과 동일한 임금을 주고 고용 해 줄 이유가 없고,
→ 나이를 떠나 젊은이와 같은 일을 한다면 같은 임금을 줘야지요. 나이로 차별하면 안됩니다.

그렇다고 점점 노인들은 늘어나는데 언제까지나 추첨제도로 운영되는 정부 주도의 노인 일자리 제도로는고령화 시대를 버티기도 어렵구요.
→ 저출산 고령사회를 버티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더 많은 정부 대책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고소득층의 세율을 높여서 기본소득이나 생활임금 제도 같은 걸로 정부가 일정 수준의 소득을 보조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맨 처음에 최저생활 수준을 강제로 정한게 문제라더니 이번엔 정부가 소득을 보조해야 한다고 하네요. 논리적으로는 전혀 연결이 되진 않지만 여기까지 온 것은 합격점입니다. 최저임금이 기업들의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호하는 것이라면, 기본소득은 정부가 노동자의 최저생활을보호하는 제도입니다. 우리 나라에선 취업자와 비취업자 모두 있으므로 두 제도 모두 필요합니다. 재원은 당연히 고소득자와 큰 기업의 세금과 정부의 사업소득 등이 되겠지요.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2 3 4 5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