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SonicYouth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2-01-05
방문횟수 : 2526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289 2018-08-10 07:49:03 0
격투기에 체급차가 있는 이유 [새창]
2018/08/09 04:43:55
마동석은 키가 작아선지 생각보다 작더라구요.
288 2018-08-08 08:12:34 2
레몬 새싹 [새창]
2018/08/07 21:32:00
너무 예쁘네요.
조금 자라서 수수깡 굵기정도 되면 탱자나무를 대목으로 접목 시켜 주세요. 그러면 레몬 열매도 금방 볼 수 있어요. 시트러스류는 종자로 그냥 키우시면 발아는 비교적 쉬운데 꽃 보시는게 너무너무 힘들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287 2018-08-06 11:11:37 30
계곡 다녀온 썰.jpg [새창]
2018/08/05 16:45:03
십여년 전부터 많이 가물어요.
깊은 산 작은 계곡들은 가재, 도롱뇽, 미유기, 산개구리등이 말라가는 물길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어요.
급격한 환경 변화에 취약한 생태를 가진 야생 동식물들이 매우 심각하게 타격을 받고있답니다.
사람이 못 노는 것도 슬프지만 매일 시시각각 생사를 넘나들며 종 전체의 절멸에 놓인 생물들을 보면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286 2018-08-05 06:03:40 3
프란지파니 국내에 있나요? [새창]
2018/08/03 18:12:48
향이 무척 좋지요.
'Frangipani' 는 국내 월동이 힘든 열대식물이라 온실이나 식물원등에서만 간간히 보였죠.
그런데 다른 이름(학명)인 '플루메리아 루브라' 또는 유통명 '러브하와이'라고 검색하시면 여기 저기서 씨앗 또는 화분으로 판매하고 있답니다.
협죽도과로써 협죽도와 마찬가지로 줄기와 잎에 독이있으니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이 있으실 경우 많은 주의를 요하는 식물입니다.
285 2018-08-05 05:38:53 3
라벤더가 더위먹은거 같아요.. [새창]
2018/08/03 15:41:00
더위 보단, 과습과 균류 침투로 인한 무름병에 걸렸네요.
발아 직후 생장 초기라 방법이 없습니다.
284 2018-07-27 00:22:36 0
이 식물 이름 알려주세요 [새창]
2018/07/24 20:59:13
워터코인 수상엽같은데요.
283 2018-07-19 22:43:24 2
식물용 LED 효과 있나요? [새창]
2018/07/15 16:57:40

아, 오해가 있으신데요.
led가 식물을 웃자라게 만드는게 아니라 led를 포함한 약한 빛에 그런거에요.
빛이 약할때 빛의 반대쪽에 생성되는 옥신이라는 성장관여 호르몬이 전체적으로 활성화 되기에 성장만 빠르게 되어 웃자라는 것이죠. 모든 식물이 빛쪽으로 자라게 되는 이유도 빛의 반대쪽이 잘자라니 그런겁니다.
여튼, 절대 led가 웃자라게 만드는게 아니랍니다.
약한 led를 보조등으로 주간에 사용하는건 괜찮겠지만 단일 조명으로 사용하면 결국 웃자란답니다.
그리고 말씀드렸듯 100와트 이상의 식물성장용 led등이라면 엄청나게 건강히 잘 자랍니다.
초기 비용이 문제이지요.
참고로 저는 자작 led등으로 화초는 물론이고 허브나 채소들도 기르고 수초도 기르고있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281 2018-07-17 17:01:25 0
화분에 식물 예쁘게 심는 법 있나요 [새창]
2018/07/13 12:03:03
이런 답글 달기 죄송하지만, 너무 예쁘기만 한걸요!
자연은, 자연스런 거에요.ㅎㅎ
280 2018-07-17 16:56:03 4
식물용 LED 효과 있나요? [새창]
2018/07/15 16:57:40
당연히 도움은 됩니다만 관음죽에게 필요한 광량에 크게 못미칩니다.
관음죽이 아무리 반음지 식물이라 하지만 총100~150와트 이상의 파워led등은 있어야 외부 자연광 없이 생장 가능합니다.
주간에 자연광이 들어오는지요?
그렇다면 자연광 보조등으로 사용하시기엔 무리없어보입니다만 단독으로는 웃자라다 고사하게 될 가능성이 높네요.
이하는 제가 다른 질문에 달았던 답변인데 도움 되시라고 달아드립니다.

일단 식물을 키우는데 필요한 빛은 럭스만으로는 측정하기 어렵답니다.
일반적인 조도나 휘도등은 인간의 눈에 밝음을 측정할뿐 파장이 식물의 광합성과는 일치하지 않을수 있거든요.
특히 led같은 단일 주파수의 파장은 식물이 원하는 특정 파장대를 일부러 맞추지 않는한 아무리 밝아도 큰 효율이 없답니다.
식물이 대부분 초록인 이유는 적색과 청색은 흡수, 이용하고 불필요한 녹색을 반사하기 때문 이므로 자연광 없이 led만으로는 적, 청 6:4정도의 비율에 광량자속밀도를 위해 고효율 led 수십 내지 수백개는 필요합니다.
다만 삼파장램프나 t5형광등 또는 식물성장용 pg등은 비교적 자연광에 가까운 넓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조금 강하게 사용한다면 음지식물 정도는 키우실수 있습니다.
복잡한 이야기라 간단히 말씀드렸는데 혹시나 더 궁금하신 게 있으시면 말씀주세요.

아 그리고 통풍은 식물에게 호흡과 같은 것이라 너무너무 바람이 없는 실내라면 컴퓨터용 쿨링팬이라도 달아주시는게 식물건강에 유리합니다.
279 2018-07-12 07:43:14 2/9
이제는 못 먹는게 없어진 그 사람 [새창]
2018/07/11 14:37:32
다 좋은데요.
진지충 욕먹을 각오하고 말씀 드리자면,
국내 서식하는 모든 양서류와 파충류는 환경부지정 보호종으로 특히 사진에 보이는 북방산개구리는 국제 자연보호연맹 적색리스트(IUCN Red List)에 관심대상으로 들어있는 종입니다.
포획은 물론 먹는것 만으로도 강력한 처벌대상입니다.
특히 양서류인 개구리는 서식지 파괴는 물론이고 잇단 가뭄을 비롯한 기후변화와 양서류 기생 균류 창궐등으로 전세계 멸종 위기인데 어떻게 저런게 방송됐는지 모르겠네요.
자연인이 값비싼 양식 산개구리를 구매했을 리도 없잖나요?
그저 자연을 사랑하는 맘에 화가나서 적어봤습니다.
278 2018-07-12 07:14:14 20
밥 아저씨 반전 [새창]
2018/07/11 17:22:12
회화 전공 40대 전업작가입니다.
Tatari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무지, 무식보다 못한게 오만과 독선입니다.
277 2018-07-09 01:04:51 0
이 선인장 이름이 궁금합니다 [새창]
2018/07/07 11:25:59
Echinopsis chamaecereus cv. Yellow Bird.
즉, 백단(손가락선인장)의 hybrid(교배)종으로 노란꽃이 피게끔 만든 종이에요.
본래 다홍색의 꽃도 예쁘지만 노란색도 엄청 예쁘네요.
276 2018-07-08 23:46:47 0
[새창]
하부 잎부터 노랗게 되는게 분갈이 몸살일 수도 있고, 과습이나 영양 과다일 수도있겠네요.
물주는 시기가 일정치 않아도 그럴수 있습니다.
이주정도 지나면 괜찮을듯 싶어요.
275 2018-07-08 23:29:05 0
흙에 심기 vs 물꽃이 [새창]
2018/07/07 23:38:54
보통의 경우 꺾꽂이시 양분이 없는 순수한 물이 유리합니다.
이유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세균감염, 일정 수분및 습도의 유지, 삼투압, ph등이 뿌리도 없고 상처난 상태의 식물에게 불리하기 때문이지요.
절단면은 멸균처리된 예리한 칼로 자르고 루튼등의 발근제로 처리하여 물꽂이나 지피펠럿등의 무균 저양분 흙등에 꽂아 습도 높고 빛이 약한 곳에서 발근이 된 후에 흙으로 옮기시는게 성공률이 가장 높습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26 27 28 29 3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