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13
2024-12-31 00:14:55
10
https://www.youtube.com/watch?v=ijl-g-VvTpg
작년에 올라온 '737은 연료를 어떻게 버릴까? 라는 영상입니다. 링크만 올려놓으면 사람들이 안보는거 알기 때문에 요약하면,
- 연료배출 기능의 주 목적은 화재방지가 아니라, 착륙시 기체를 가볍게 하기 위함. (장거리 노선 운항시 연료를 100t정도 소모한다고 합니다)
- 단거리 기종은 애초에 연료를 많이 싣지 않고, 필요하다면 공항 주변을 선회하는 식으로 소모가 가능
- 때문에 단거리 기종은 연료배출기능을 굳이 장착하지 않는다
기체가 무거우면 착륙할 때 데미지가 갈겁니다. 장거리 노선일 수록 이륙할 때 도착지까지 갈 연료+여유분까지 싣고 있기 때문에 착륙 가능한 중량보다 무거운 상태로 이륙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이륙 직후 문제가 생겨 착륙을 해야하면, 연료를 소모하거나 버리는 식으로 기체 중량을 줄여야 착륙이 가능해집니다.
그런데 이번 사고는 태국에서 출발해 정상적으로 도착지까지 비행을 한 후였기 때문에 착륙중량 충족한 상태였을 것이고, 비상착륙을 하더라도 연료를 완전히 비울 수는 없기 때문에 폭발 위험 때문에 연료를 버려야 한다는 말도 초점에 어긋났다고 봅니다. 연료배출과는 무관한 사고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