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론적으로 자유와 규제 사이의 균형을 생각하여 언어의 기준을 세우는거죠.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이론과 현실을 반영하여 법을 제정하듯, 언어의 기준을 세우지 않으면 제주도 사투리도 되고 일본어와 영어를 섞어도 되고 되고 아무거나 다 되어버리니 사전 조차도 존재하지 못하게 됩니다. 경제에서도 규제를 너무 낮추고 자유시장에 맡겼다가 잘 못 되어 국가가 어느정도의 규제를 시작했고요. 답은 극단적인 자유와 극단적인 규제가 아닌 적절한 균형에 있다고 봅니다.
지금 법정이 개판이 돼서 사람들이 헷갈리는거지만 유죄판결이라는 것의 기본 개념 자체가 ' 죄가 명백하게 증명 되어 있다' 입니다. 여기서 더 확실하니까 더 벌을 주고 조금 덜 확실하니까 벌을 덜주는거 자체가 어불성설입니다. 확실하지 않으면 아무리 봐도 유죄 같더라도 무죄로 판결받아야죠. 또한 저는 고작 수십.년전만해도 누명씌우고 사형시키던 나라에서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겨우 여기까지 인권을 끌려올렸더니 좀 살만해졌다고 다시 사형을 언급하는 자체가 스스로 개인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정적으로야 극악무도한 범죄자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는 사람이 어디있겠습니까. 그저 그 결정이 결국 사회와 나의 권리를 위협하는 행위로 이어지니 ' 못 '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