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새벽일꾼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04-07-03
방문횟수 : 2325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3119 2020-02-17 16:30:08 0
헌혈합시다.. [새창]
2020/02/16 14:00:40
지문등록을 할 수 있는 조건이 있습니다.
헌혈 2회 이상, 최근 1년 사이 헌혈, 최근 헌혈검사결과에 이상이 없었을 것.

최근 오랜 기간 헌혈을 안하셨을테니,
이번 헌혈에는 지문등록이 불가능하고 신분증 가져가셔야 하구요.
신분증으로 헌혈하시고 다음 헌혈하실 때 신분증 가져가신 상태에서 그때 지문등록 신청가능합니다.
3118 2020-02-17 16:28:11 0
헌혈합시다.. [새창]
2020/02/16 14:00:40
수입이 가능한 건 혈장분획제제를 제조하는 원료가 되는 혈장만입니다.
수혈에 사용하는 전혈과 혈소판은 수입이 불가능합니다.
3117 2020-02-16 00:43:26 8
[새창]
올림픽 앞두고 코로나 관련해서도 세계에 정보 감추고 안들키려고 하는 모습을 창문 아래로 숨어있는 걸로 풍자했고,
방한복과 고글로 방사능사태 숨기는 모습까지 함께 빗대어 풍자하는 거죠.

눈 보면 한국, 러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은 중국경제와 자국경제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보니,
다른 나라들처럼 웃으며 보는 게 아니라 약간 걱정스런 모습이 함께 표현되어있죠.
교황님은 인류애적 마인드로 걱정하는 모습인 것 같고...
3115 2020-02-05 12:07:22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임신력이 있는 여성분은 전혈헌혈에라도 꼭 참여해주세요.
3114 2020-02-05 12:06:58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헌혈의집이 20시까지 운영하기 때문에 6시 30 전에 도착해야 혈소판헌혈가능합니다.
3113 2020-02-05 12:06:30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그런 일은 없습니다.
요즘 심각한 혈액부족상황이라
특정환자에게 지정이 너무 몰리면 특정병원이 부익부가 되는 것 뿐이지(지정헌혈하는 곳이 아닌 다른 병원은 빈익빈),
병원 내 다른 환자에게 수혈하면 그만이니까요.
3112 2020-02-05 12:05:01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수혈이 필요한 환자는 항상 존재하니까 헌혈하시면 됩니다.
3111 2020-02-05 12:04:36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첫헌혈이면 혈소판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모든 혈액형 환자들이 수혈이 어렵습니다.
혈소판 되면 하시고 안되면 전혈헌혈이라도 하시면 됩니다.
아래 저자문진 링크 미리 읽고 체크해보세요.
https://www.bloodinfo.net/emi_bldqualify.do
3110 2020-02-05 12:03:14 0
유머아니라 죄송합니다. ab형 혈소판이 급히 필요해요 ㅠㅠ [새창]
2020/02/02 16:17:25
두타스테라이드 계열이 6개월이고
많이들 드시는 프로페시아 등의 탈모약은 1개월입니다.
3109 2020-01-14 18:58:30 2
(유머x)불쌍한 임산부서울지역 닭갈비랑 육개장 맛집좀 추천해주세요.. [새창]
2020/01/13 13:49:38
(소근소근)
임산부는 임부와 산부를 함께 아우르는 말입니다.
이 경우에는 임부 또는 임신부라고 해야 맞는 표현입니다.

한국 들어오셔서 맛있게 잘 드시고 건강하게 출산하시길 기원합니다~
3108 2020-01-08 00:52:22 2
일생 처음 사과쥬스 [새창]
2020/01/06 18:21:22
귀여워 귀여워
3107 2020-01-04 12:29:36 0
[새창]
의료인은 아닙니다만 문진기준에 대해서는 내용을 좀 아는 편입니다.
왜 그런 얘기를 들으셨는지 의아하네요.

제가 딱히 탈모약의 연혁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탈모약이 개발 및 임상시험단계에서부터 이미 가임기 여성에게 문제가 되는 부분은 나왔었을 것이고,
그걸 근거로 헌혈금지약물에 해당되었을텐데,
아주 초기에 공식적인 헌혈문진기준도입 이전에는 좀더 보수적으로 접근해서 기간을 길게 설명했을 수도 있어보입니다.

그렇다하더라도 2000년대초도 아닌, 2010년에 금지기간을 2년으로 설명할 근거가 있었을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 기억에 2010년에는 이미 먹는 탈모약이 광범위하게 일상에서 사용되던 시기였으니까요.
탈모약에 대한 헌혈금지기준도 확고하게 자리잡았을 시기이구요.

그래서 저는 그런 부분보다는 단순히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오해가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3105 2020-01-03 20:50:13 1
[새창]
여기저기 많이 올라왔습니다.
솔직하게 말하면 이렇게 온갖 카페와 커뮤니티, 소셜미디어 등으로 무한 펌이 되는 사연의 경우는 헌혈지원자가 넘쳐나기 쉬워서 수혈이 어렵기가 힘들죠.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6 7 8 9 1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