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5
2017-11-04 14:52:14
2
반론을 하자면, 자원에는 천연자원, 과학기술도 있지만 사회적 자본도 자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국민 간의 동질성이 높은데도 개방성도 높으며, 직접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국가는 전세계적으로 몇 없습니다. 이는 굉장한 사회적 자본이라 할 수 있지요. 회계적으로 표현하기에 난감하다지만, 사회적 자본을 빼면 세계사 속 경제발전의 대다수가 설명이 안됩니다.
그리고 천연자원에 대해선 의외로 역설적인 상황이 많이 발생합니다. 풍족한 자원은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사회 양극화의 발단이 되기 십상입니다. 풍부한 자원이 독재세력의 배만 불리고 국민들을 핍박하는 무기가 되는 것이죠.
한편 1차 산업의 수익률이 월등해지면서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2차, 3차산업 등 고도화 산업을 잠식해버리는 '석유의 저주'가 발생할 위험도 큽니다. 즉 산업화가 완비되고 사회제도가 안정화 된 국가가 아닌, 개발도상국에게 주어진 천연자원은 되려 발전에 부담이 되기 십상입니다. 복권 당첨자가 패가망신 하는 경우가 국가단위에선 더 흔하다는 것이죠.
미국하고 비교하면 쭈그리 안되는 국가가 없으니 제외하고, 제국주의를 향유했던 서구권 국가와 비교해도 우리나라가 그리 꿀릴 건 없습니다. 인구나 국토도 생각만큼 협소하진 않고, 세계적인 활동영역을 보면 굉장한 규모입니다. 그것도 북한이라는 암덩어리 하나 붙이고도 말이죠.
본문의 문제의식은 너무 빠른 성장으로 생긴 사회 곳곳의 진공상태의 영역에 대한 고민으로 본다면 좀더 정확할 거 같습니다. 정작 이런 것도 마음먹고 보완한다면 금세 임기응변을 낼 거 같기도 하고, 또는 인적자본에 대한 재투자 영역을 늘려갈 자연스럽고 시장친화적인 정책이 도입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기왕 503도 깜방에 들어갔으니, 문제의식은 가지되 낙관적으로 여겨봐도 좋겠습니다.